"K-패스"라는 것이 있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비용을 대서 시민들의 교통비를 경감해 주는 제도이다.
K패스 지원되는 선불교통카드 혹은 후불교통카드(체크카드, 신용카드)를 발급받고, K패스 앱에 카드번호를 등록하고, 주민등록 주소를 입증하면 교통비를 무실적으로 20% 이상 할인받을 수 있다.
선불 K패스는 옛날 알뜰교통카드 시절에는 지원되는 앱이 얼마 되지 않았지만, 점차 하나둘씩 늘어나고 있다.
모바일이즐, 원패스, 카카오 모바일 교통카드 등이다.
이제는 모바일 레일플러스 선불형도 K패스가 지원된다.
모바일 레일플러스는 SIM SE가 지원되지 않는 외산폰, eSIM 스마트폰, 일반유심 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아이폰 불가
모바일 레일플러스는 SIM SE가 지원되지 않는 외산폰, eSIM 스마트폰, 일반유심 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아이폰 불가
2025년 2월 3일부터 모바일 레일플러스 K패스 지원
이제 모바일 레일플러스도 K패스가 지원된다.
다만 후불형은 불가능하고 선불형만 된다.
플라스틱 실물 교통카드가 아니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 태그하는 모바일 레일플러스 교통카드만 된다.
레일플러스 선불형 카드번호 확인하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레일플러스 앱을 설치하고 로그인 및 선불형 교통카드를 등록하면, 보시다시피 16자리 카드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카드번호를 (후술할) K패스 앱에 등록해 주어야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다.
K패스 환급금 지급 방식
당월 사용한 금액에 대한 K패스 환급금은 익월 20~25일경 "쿠폰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쿠폰함의 쿠폰으로 선불 레일플러스를 충전하면 된다.
모바일 레일플러스 선불형으로 일반 가맹점에서 결제하면 추가 혜택 제공
기본적으로 K패스는 전월실적 상관없이 월 편도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20% 이상 할인혜택을 제공한다.
다만 레일플러스로 편의점 등 각종 가맹점에서 일정금액 이상 결제하면 아래와 같이 추가 혜택을 제공한다.
*. 레일플러스 앱으로 기차표를 구입하는 경우에는 실적으로 인정해 주지 않는다.
다만 레일플러스 앱으로 KTX 승차권을 구매하면 KTX 마일리지를 1% 더 적립해 준다.
K패스 할인혜택을 제공받으려면 반드시 카드번호를 K패스 앱에 등록해 주어야 함
앞서 언급했지만 모바일 레일플러스 앱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K패스 혜택을 받으려면 반드시 K패스 앱에 카드번호를 등록해 주어야 한다.
상세한 적립 내역은 K패스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해서는
[관련글] 최강 무실적 교통카드 K패스
0 댓글